자연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법
서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
Bushcraft는 단순한 야외 생존 기술을 넘어,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철학입니다.
위대한 자연속에 자연인으로의 조화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캠핑과 아웃도어 붐 속에서 Bushcraft는 종종 "자연을 소비하는 행위"로 오해받곤 합니다.
나무를 마구 베고, 바닥을 파헤치며, 연료를 태우고 쓰레기를 남기는 모습은 진정한 Bushcraft의 정신과는 거리가 멉니다.
자연속에서 심신의 힐링을 받으며, 영감과 부산물을 얻으며 자연의 일원으로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는 '자연을 보존하면서도 Bushcraft를 실천하는 방법', 즉 친환경적인 Bushcraft 라이프스타일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이 내용은 단순한 장비 추천을 넘어서, 행동 철학과 생태계 이해, 지속 가능한 실천 방식에 이르기까지 포괄합니다.
1. 자연을 ‘이용’이 아닌 ‘이해 또는 가호’의 대상으로 바라보기
많은 사람들이 자연을 "자원"으로 생각합니다. 나무는 땔감, 흙은 방수용, 돌은 도구로 인식하죠. 그러나 친환경적인 Bushcraft를 실천하려면 먼저 관점을 바꿔야 합니다.
인간은 자연속에서는 자연의 보호/가호를 받는 존재 또는 자세로 임해야됩니다.
✔ 생태 리듬을 이해하자
- 조류의 번식기,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자생식물의 생장 주기를 파악하는 것은 단순한 지식이 아닌 책임입니다.
- 예를 들어, 봄철에 무분별하게 땅을 파거나 나무를 꺾는 것은 새들의 둥지를 파괴하고 생태적 연쇄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LNT : Leave No Trace"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 흔히 쓰이는 "Leave No Trace" 원칙은 중요한 기준이지만, 여기에 더해 "자연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동"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예: 자생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외래종 제거, 쓰레기 줍기, 해충 퇴치 식물 심기 등의 ‘적극적 행위’도 포함됩니다.
2. 로컬 자원의 최소화된 활용법
Bushcraft는 로컬 자원을 활용하는 기술이지만, 그것이 남용이 되어선 안 됩니다.
✔ ‘죽은 나무’가 아니라 ‘살아있는 생태계의 일부’
- 죽은 나뭇가지도 곤충, 이끼, 버섯의 서식지입니다.
- 진정한 친환경 Bushcraft 실천자는 **"이 나뭇가지 하나가 어떤 생명을 지지하고 있을까?"**를 먼저 생각합니다.
- 외부에서 가져온 연료나 인공 장작 사용은 최소화 하고, 바람에 꺾인/부러진 가지만을 활용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 더 진정한 친환경은 최대한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는거라고 합니다.
✔ 물과 땅, 그리고 미생물
- 물을 끓이기 위해 사용하는 땔감, 배수구를 만들기 위한 굴착은 모두 토양 미생물과 물순환 체계에 영향을 줍니다.
- 가능한 방법:
- 지반을 훼손하지 않는 고상식(raised platform) 방식의 Shelter 설치
- 배수는 자연 지형을 활용하여 최소한의 조작으로 설계
3. 지속 가능한 Shelter 구축법
Bushcraft Shelter는 자연 자재로 만들기 때문에, 더더욱 친환경적인 설계가 중요합니다.
✔ 최소 개입 구조물
- 비거주형 Shelter(예: 타프, 반고정형 Lean-to) 사용이 가장 친환경적입니다.
- 만약 반영구적인 구조물을 만든다면:
- 뿌리를 파괴하지 않는 나무 선정
- 잔가지 재사용
- 건축 후 복구 계획 포함
✔ 재사용 가능한 매트와 단열법
- 일반적으로 나뭇잎, 풀, 이끼 등을 단열재로 사용하나 이는 자연 훼손으로 이어집니다.
- 낙옆을 모아서 바닥 단열재로 사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겠습니다.
- 대안:
- Tyvek(타이백), 울 담요, 셀룰로오스 섬유 패드 같은 친환경 매트를 사용
- 특히 일본산 ‘이누마키 바닥 매트(犬槇)’는 자연분해가 가능하며 단열성이 뛰어남
4. 자연식 조리법의 진화: 수렵 채집 대신 ‘저영향 식생활’
✔ 생존식이 아닌 ‘윤리적 식생활’
- 가능한 경우, **가져온 재료(국산 제철 채소 등)**를 활용하여 요리
- 채집을 한다면:
- 1/10의 원칙: 같은 종의 식물이 10개 있으면 1개만 수확
- 뿌리나 씨앗은 절대 채취하지 않기
- 버섯이나 산나물 채집 전 지역 법령과 보호종 여부 확인
✔ 무연 조리 기술과 폐기물 최소화
- Dakota fire hole 방식: 연기가 거의 없고 효율적이며 토양 훼손을 줄일 수 있음
- 생선이나 고기를 조리할 때는 잉여물 퇴비화 혹은 수거 처리
** Dakota Fire Hole이란?
Dakota Fire Hole은 북미 평원의 수족(Sioux 계열) 원주민 부족인 Dakota 부족이 사용하던 전통적인 화로 기술입니다. 지면 아래에 불을 피워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높은 연료 효율과 연기 최소화를 달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기술은 현대의 군대 생존 훈련과 Bushcraft 커뮤니티에서도 최고의 은폐형 화로 방식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5. 친환경 도구 사용 및 유지관리
Bushcraft에서는 도구 선택도 환경 영향을 결정짓습니다.
✔ 오래 쓰는 도구 = 친환경
- 탄소강 칼, 목재 손잡이 도끼, 리벳 없는 천연가죽 커버는 수명이 길고 자연에서 분해되거나 재사용 가능
- 도구 수리 능력은 Bushcrafter의 핵심 기술 중 하나
- 스스로 날을 갈고 손잡이를 교체하는 기술을 익히자
✔ 플라스틱 OUT
- 생존 키트는 가능하면 금속, 천연섬유, 유리로 구성
- 예: 파라코드 대신 삼베끈, 고어텍스 대신 면+비즈왁스 코팅 타프
6. 야생동물과의 공존: 인간의 존재를 최소화하라
야생에서 불필요한 소리, 빛, 냄새는 모두 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줍니다.
✔ 무광 장비 사용
- 야간에는 반사되는 금속류 장비는 천으로 덮기
- 랜턴보다는 헤드램프 + 적색 필터 사용
✔ 냄새 없는 조리와 보관
- 냄새 나는 음식은 밀봉 후 보관, 식사 후 잔여물은 바로 처리
- 동물들이 접근하지 않도록 트리 행잉 방식의 푸드 백 사용
결론: 친환경 Bushcraft는 '기술'이 아니라 '태도 와 마음가짐'이다
친환경적인 Bushcraft는 단순한 야외 생존법이 아닙니다. 그것은 자연과 교감하고, 지켜주고, 자신을 낮추는 태도와 마음가짐에서 시작됩니다. 나무 한 그루, 물 한 방울, 작은 풀잎 하나도 그 존재의 이유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간 중심이 아닌 자연 생태 중심의 사고를 해야 합니다.
실천은 어렵지 않습니다. 단지 기존의 습관을 되돌아보고, 조금 더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것만으로도 자연은 우리에게 훨씬 더 깊은 교감을 허락할 것입니다.
Bushcraft는 자연을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기술입니다. 친환경적인 실천을 통해, 우리는 진정한 Bushcrafter가 될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알고 싶은 부시크래프트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글에서는 **“비밀스러운 자연 속 숨겨진 장소 찾기”**을 소개할 예정이니, 관심 있으시면 즐겨찾기 해주세요!
'부시크래프트(Bushcra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Bushcraft 필수 장비(도구) 20가지 소개 (2) | 2025.07.05 |
---|---|
13. 자연과 함께하는 명상과 정신적 힐링 (1) | 2025.07.05 |
12. 계절 별 Bushcraft 팁과 도전 과제 (0) | 2025.07.05 |
11. 비밀스러운 자연 속 숨겨진 장소 찾기 (3) | 2025.07.04 |
9. 🛖 자연에서 믿고 쓸 수 있는 Shelter 구축법 (4) | 2025.07.04 |
8. 🔥불 피우기 비법: 자연 속에서 안전하게 불 피우기 (2) | 2025.07.04 |
7. 생존 스트링(끈, 줄) 매듭법 종류와 방법, 활용 사례 (1) | 2025.07.03 |
6. 야생에서의 물 찾기와 정화 방법 (1)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