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시크래프트(Bushcraft)

24. 해외의 유명 Bushcrafter 활동 사례 및 블로그 소개

by 자락길 2025. 7. 13.
반응형

들어가며

부시크래프트(Bushcraft)는 이제 단순한 생존 기술을 넘어서 삶의 철학, 교육 방식, 예술적 표현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특히 해외의 여러 Bushcrafter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연 속에서의 삶을 체험하고, 그것을 콘텐츠화하여 전 세계 사람들과 공유한다. 이들은 단순한 야외 기술자가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자연과의 관계를 재정의하는 철학자이자 창작자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그들의 활동 방식과 철학을 중심으로, 단순히 ‘이 사람이 유명하다’는 수준을 넘어서 왜, 어떻게, 누구에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깊이 있게 분석한다.

해외의 유명 Bushcrafter 활동 사례 및 블로그 소개


1. Ray Mears – 부시크래프트를 철학으로 끌어올린 선구자

● 활동 개요

영국의 부시크래프트 대중화의 1인자. 1980년대부터 TV와 출판을 통해 자연 속 삶의 가치와 전통 기술의 복원을 강조해 왔다. 대표 프로그램은 BBC의 《Bushcraft with Ray Mears》, 《Wild Food》 등.

● 블로그/웹사이트

  • www.raymears.com
    • 교육 캠프, 책, 방송 아카이브, 온라인 상점 등 운영.
    • 최신 교육 일정과 지역별 자연 체험 프로그램 소개.

● 특징

  • 단순한 기술 설명이 아닌, 현지 부족들의 삶의 철학과 함께 기술을 전달.
  • 아마존 부족, 이누이트, 오지 원주민들의 생존 지식과 연결된 이야기가 강점.
  • 현대인에게 자연과의 연결 회복을 설득력 있게 전파.

● 흥미로운 사례

"Ray Mears는 아프리카 부족의 장례 의식을 통해, 죽음조차 자연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문화 속 생존 기술을 소개한다. 이는 단순한 도끼질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자연과 맺는 감정적 관계까지 포함된 교육이다."


2. Mors Kochanski – 지식과 실험의 부시크래프트 과학자

● 활동 개요

캐나다의 부시크래프트 교육자. 『Bushcraft: Outdoor Skills and Wilderness Survival』의 저자이며, ‘북미 야생 훈련’의 대부로 불린다. 40년 이상에 걸쳐 현장 중심의 생존기술 연구와 실험적 훈련법을 발전시켜왔다.

● 블로그/자료

  • 개인 블로그는 없지만, 영상 강의와 노트 정리는 다양한 팬 사이트에서 보존 중.
  • 대표 유튜브 채널: Karamat Wilderness Ways

● 특징

  • 좋은 도구 하나는 좋은 친구보다 낫다”는 실용주의적 철학을 바탕으로 한 실전 교육.
  • 그는 실험을 통해 “어떤 구조물이 3일을 버틸 수 있는가?”, “추위에서 생존 가능한 한계는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테스트했다.

● 흥미로운 사례

“Kochanski는 겨울 텐트 안에서 자신의 체온, 습도, 열손실을 기록한 후, ‘인간 온열 환경의 가장 경제적인 형태는 무엇인가’를 연구하여 북극 생존 수업에 적용했다.”


3. Joe Robinet – 자연과 창작의 유튜브형 부시크래프터

● 활동 개요

캐나다 출신의 Bushcrafter이자 유튜브 크리에이터. 혼자 자연 속에서 삶을 영위하며 그 과정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콘텐츠를 제공. 촬영, 편집, 음악까지 모두 스스로 수행.

● 유튜브/블로그

  • YouTube: Joe Robinet
  • 인스타그램: @joerobinetbushcraft

● 특징

  • 기술 교육보다 스토리텔링 중심: “왜 이 장소에 텐트를 칠까?”, “이 장작은 어떤 사연을 담고 있나?” 등 인간적 질문을 담음.
  • 혼자 혹은 개와 함께 다니는 솔로 부시크래프트 형식.
  • 카메라 워크, 음악, 영상미가 유튜브형 콘텐츠로 최적화되어 있음.

● 흥미로운 사례

“Joe는 종종 아무런 계획 없이 4일간 떠나는 솔로 트립을 찍는다. 그 과정에서 ‘실패’마저 보여준다. ‘도끼를 잃어버렸다’, ‘불을 피우지 못했다’는 장면이 편집되지 않고 올라오는 게 그의 진정성이다.”


4. Creek Stewart – 미국식 생존교육의 시스템화

● 활동 개요

미국의 생존전문가이자 Bushcraft 교육기관 운영자. TV 프로그램 《Fat Guys in the Woods》로 유명세를 탔다. 생존캠프인 Willow Haven Outdoor를 운영하며, 극한 상황에서의 시민 생존 능력을 중심으로 교육한다.

● 블로그/웹사이트

  • www.creekstewart.com
    • 생존 기술, 장비 리뷰, 훈련 프로그램, 뉴스레터 운영.

● 특징

  • 실용적인 DIY 도구 제작법을 강조. 예: “탄산음료 캔으로 만든 알콜 버너” 등.
  • 미국적 응급 상황(정전, 폭설, 산불 등)에 맞춘 도시형 Bushcraft도 병행.

● 흥미로운 사례

“Creek은 ‘평범한 미국 가정에 필요한 Bushcraft’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차고 안 생존 키트 만들기’, ‘비상식량 30일 구성법’ 등을 유튜브에서 상세히 안내한다. 이는 전통적 Bushcraft와 Prepper 문화의 접점을 보여주는 사례다.”


5. Zed Outdoors – 문화적 해석을 더한 중동계 Bushcrafter

● 활동 개요

Zed는 중동계 영국인으로, 단순히 기술이 아니라 Bushcraft의 문화적 다양성과 철학적 의미를 탐색한다. 그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Bushcraft를 어떻게 다르게 실천하는지에 초점을 둔다.

● 유튜브/블로그

  • YouTube: Zed Outdoors
  • 웹사이트: www.zedoutdoors.com (기획형 블로그 콘텐츠 포함)

● 특징

  • 전통적인 도구(예: 터키식 커피포트, 아라비안 나이프 등)를 Bushcraft에 접목.
  • 이슬람권에서의 자연 철학과 부시크래프트를 연결하려는 시도.
  •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 등 ‘비서구권 부시크래프트’를 콘텐츠로 다룸.

● 흥미로운 사례

“Zed는 ‘자연 속 라마단’이라는 콘텐츠를 통해, 금식과 명상이 자연 속에서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선불교 산중 수도와도 철학적으로 유사하다.”


6. Bushcraft Spain – 유럽의 장인형 부시크래프트 브랜드

● 활동 개요

Bushcraft Spain은 개인이 아닌 소규모 장인 공동체로, 스페인 현지에서 수제 Bushcraft 장비를 제작하고 부시크래프트 철학을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 웹사이트

  • www.bushcraftspain.es

● 특징

  • 직접 만든 타프, 백팩, 스툴 등은 천연 재료와 전통 방식으로 제작됨.
  • 기술 중심이 아닌 삶의 미학과 철학을 물건에 담는 접근.

● 흥미로운 사례

“그들의 웹사이트는 제품 소개가 아니라, '이 장비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느 지역의 전통에서 왔는가'에 집중한다. 그 자체로 한 편의 문화 에세이다.”


결론: 부시크래프트는 ‘기술’이 아니라 ‘사람’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부시크래프트는 나이프 기술, Shelter 만들기, 불 피우기 같은 기능적 요소지만, 해외의 Bushcrafter들은 자신만의 삶의 가치, 전통, 철학을 통해 이를 문화적으로 해석하고 공유하고 있다.

  • Ray Mears는 지식과 전통을 복원한다.
  • Mors Kochanski는 실험과 과학을 적용한다.
  • Joe Robinet은 스토리텔링과 창작으로 확장한다.
  • Creek Stewart는 시민 실천형 모델을 제시한다.
  • Zed Outdoors는 문화 간 연결성을 모색한다.
  • Bushcraft Spain은 장인정신으로 품격을 더한다.

한국의 Bushcraft도 이제 단순한 캠핑이 아니라, 이처럼 우리의 정체성과 문화를 담아내는 방식으로 진화할 수 있다.

지금 한국의 산속에서 움막을 짓고, 낙엽을 모아 잠자리를 만드는 당신도 — 이들과 다르지 않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